티스토리 뷰

반응형

최근 외국에서도 "대한민국이 사라지고 있다"라는 기사를 내며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를 심각하게 보고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0.81명에서 0.84명으로 증가한 대전에서 '부부가 살기 좋은 하니(HONEY) 대전 프로젝트'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는데요. 그 내용 자세히 알아볼까요?

 

대전 하니(HONEY) 프로젝트 지원 대상 및 시행 시기 

 

 

대전시는 12월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인구 감소의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하니(HONEY) 프로젝트를 계획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지원 정책은 만 19세에서 39세 이하의 청년층 신혼부부에게 다양한 혜택을 주자는 정책입니다.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나이 조건이 맞고, 혼인 신고 전 일정 기간 이상 대전에 거주한 시민이라면 결혼(초혼) 시 부부 각각에게 250만 원씩, 한 가구당 500만 원을 지급하겠다는 것인데요. 결혼을 앞둔 커플이라면 귀가 확 트일 만한 소식인 것 같습니다. 안타깝게도 이 프로젝트는 당장 시작되지는 않을 것이고, 중앙 정부(보건복지부)와의 행정절차를 마친  2025년부터 시행된다고 합니다. 아래 대전시 블로그를 통해 새 소식 놓치지 말고 받아보세요. 

 

대전광역시 공식블로그

대전시 공식블로그. 유익하고 즐거운 대전의 다양한 소식 받아보세요^^

 

구체적으로 어떤 혜택이 있나?

구체적으로 혜택을 보면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결혼 장려금 지급

2. 주거비 부담 완화(임대료 감면, 전세보증금 지원, 이자 지원 등)

3. 자녀 양육비, 난임 시술비 확대 지원 

결혼 장려금은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부부 각각에게 250만 원씩, 한 가구당 500만 원을 지급합니다. 요즘 결혼 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결혼에서 가장 큰 부담이 주거비 관련한 것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이에 대전시는 청년주택 2만 호 공급, 행복주택 임대료 감면 사업, 전세자금 및 주택 구입 대출 이자 지원 사업도 동시에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미 추진 중인 청년주택은 2030년까지 2만 호를 건립하고, 신혼부부 우선 분양을 30%까지 상향 조정하고 민간사업 청년주택의 의무 공급 또한 3%까지 확대할 방침입니다. 또한, 대전형 행복주택인 '다가온 주택'에 최초 입주하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자녀 수에 따라 월 임대료를 최대 10년간 감면해 주는 사업도 추진합니다. 1자녀는 임대료의 50%, 2자녀는 100% 감면해 준다고 하니 파격적인 혜택이 아닐 수 없겠네요. 마지막으로 대전시 거주 중인 신혼부부(혼인 신고일 7년 이내 또는 혼인 예정)로 부부 합산 연소득이 9천만 원 이하인 무주택자,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서는 연 최대 450만 원씩 최대 6년까지 지원합니다. 또 보금자리 지원 사업을 통해 4억 원 이하의 주택을 구입한 경우 대출한도 3억 원 범위 내에서 이자를 1.5% 지원하고 연 최대 450만 원씩 최대 6년간 지원합니다. 

그 밖에도 양육수당 지원, 출산 장려금(첫 만남 이용권) 지급, 난임 수술비 확대 지원을 통해 결혼 및 출산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칠 예정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수당/아동수당/양육수당 월 40만 원~110만 원 지급, 첫 아이 출산 시 200만 원, 둘째 이상부터는 300만 원 지급 등의 내용이 있습니다. 아울러 당장 2024년부터는 난임 부부를 대상으로 소득과 나이에 상관없이 21회 범위 안에서 적합한 시술을 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고 합니다. 

2023년 현재 대전시에서 출산/양육 관련하여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도 놓치지 말고 챙겨가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유튜브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대전시는 이렇게 대전 하니(HONEY) 프로젝트를 통해 결혼을 10년 늦게 할 걸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다양한 혜택을 내놓았는데요. 대전시민으로서 시의 이번 정책은 대전이나 대한민국 차원을 너머, 전 지구적 차원에서 참 잘한 정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다양한 혜택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마음 편하게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살 수 있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보며 이번 포스트를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